-
적외선 열화상 측정 기준카테고리 없음 2023. 9. 13. 14:41300x250
전기는 보이지도 않고 참 무섭습니다. 기기는 언제 고장날지 알 수가 없죠. 그런데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점검만 제대로 한다면 90%이상 전기이상현상에 대해서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사고가 안 일어나는건 덤이죠.
우리가 일하는데, 먼저 내 몸이 안전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가족도 있고 사랑하는 친구도 있는데, 제가 전기사고로 인해 다치게 되면 안되겠죠. 그래서! 이것만은 제대로 해 보자고요. 적외선 열화상 측정입니다! 이것만 제대로 해도 전기로 인한 재해의 많은 부분을 막을 수 있습니다.
열화상은 전기안전관리자가 가장 하기 쉬우면서도 가장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열화상 측정만 잘해도, 대부분의 안전사고 예방은 가능합니다.
다만, 점검자체를 위한 점검을 하는게 아니라, 이상부분을 발견해 내겠다는 생각으로 열화상 측정을 하셔야 합니다.
마음가짐에 따라 결과가 천차만별이니까요^^
적외선 열화상 측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볼게요~
- 적외선 열화상 측정의 목적은 무엇일까요?
- 전력설비의 사고 원인이 되는 발열부를 조기 발견해서 대처하는데 있습니다.
- 절연불량에 의한 열화 진행 및 내용을 분석할 수 있어요
- 접속불량, 과부하, 기기내부 이상상태, 기기전체 등의 열적인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발생시 조치가 가능합니다.
- 기기주변의 국부적인 발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보죠
- 물체는 절대영도(-273도) 이상의 온도를 가지고 있어요. 물체로부터는 그 온도에 대응한 세기의 적외선이 복사되고 있습니다.
- 스테판 볼츠만 볼츠만의 법칙에 의하면 복사하는 에너지의 크기는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고 합니다.
- 적외선은 가시광선 보다 파장이 길고 마이크로 웨이브(Micro Wave)보다 짧은 대역의 전자파를 의미합니다.
명칭 파장대역[㎛] 특징 및 용도 근 적외선
(Short wave infrared radiation)0.8~2 - 가시광선에 가장 근접한 파장
- 적외선 중 물체에 비교적 깊게 투과
- 수광기 사용중간 적외선
(Medium wave infrared radiation)2~4 - 상온에서 직접 가열하는 방식의 적외선 복사에는 주로 이 파장대역을 복사
- 적외선 중 공기중의 투과력이 큼
- 열온도 측정에 이용원 적외선
(Long wave infrared radiation)4~1000 - 무선 주파수에 가장 근접한 파장
- 고분자 재료의 표면 가열이나 유기용제의 건조에 사용- 현재 열화상 측정의 판정기준은 법적 대상은 아닙니다. 참고치로만 활용이 됩니다.
- 적외선 열화상 측정법에는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잘 알고 있는 3상 비교법, 온도패턴법, 그리고 변압기 온도판정 기준이 있어요
- 3상 비교법
온도차 판정기준 5도 미만 정상 5도 ~ 10도 요주의 10도 이상 이상 [한국전기안전공사 안전진단시 활용하는 자체기준]
각 L1, L2, L3상 간의 온도를 비교하시면 됩니다. 위의 온도내에 해당되면, 해당 판정기준으로 판정을 하시면 됩니다.
요주의 상태에서는, 측정시 주위 온도, 해당 부하량, 상간 불평형 등을 확인을 하셔서 원인 파악을 해놓으시고, 온도 추이 확인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해당개소 측정을 하셔서 기록을 해 놓으시면 추후, 교체/증설/폐기 등을 할때 아주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습니다.
- 온도패턴법
전력기기 온도상승 한도초과시
(요주의) [℃]최고 허용온도
[℃]비고 유입변압기 본체 50 90 KSC 4306(유온기준) 건식변압기(에폭시부 B종) 80 130 IEC 726 건식변압기(에폭시부 F종) 100 155 IEC 726 GIS 15 실측에 의한 통계 단로기 및 동 BUS BAR(접촉부) 25 65 단로기 및 동 BUS BAR(접속부) 40 80 단로기 및 동 BUS BAR(구조부(자기애자 등)) 50 90 전선(IV전선, RB전선) 60 전선(600V 2종비닐절연전선,
600V폴리에틸렌절연전선)75 전선(에틸렌프로필렌고무절연전선) 80 전선(CV,CNCV) 90 전선(OF) 85 - 변압기의 온도판정 기준
검사대상 종류 기준[℃] 판정 유입변압기 절연유 1단접지변압기 50 이하 초과시 요주의 Y 90 이하 A 105 이하 E 120 이하 B 130 이하 F 155 이하 H 180 이하 C 180 이상 건식변압기 권선 A 60 이하 E 75 이하 B 80 이하 F 100 이하 H 125 이하 C 150 이하
- 적외선 열화상 측정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 모든 수전설비(ASS, LBS, PF, MOF, VCB, TR 등)와 구내배전설비(ACB 포함, MCCB, ELB 등)에 활용 가능합니다.
- 그리고, 부속설비(큐비클용 히터, 조명기구 등)
- 천정 및 조명기구의 이상발열 등
- 외부 전선로 및 책임개폐기의 이상상태 확인
- 구내 벽면, 바닥, 천정부의 발열중인 누전장소 확인
- 기타 건물 외부 발열 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을 할 수 있습니다.
- 그럼 열화상 측정을 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 화재, 설비의 소손 등 중대사고를 사전에 방지
- 과부하 접촉 불량 부분의 확인
- 무정전에서 이상 발열을 영상 식별로 분석 가능
- 발열부 원인분석 증거 마련
- 이상 발열부 확대하여 섬세한 분석 가능
- 예방 보전에 의한 돌발사고 사전 예방
- 기기 열화의 진행상태 확인 가능
- 설비의 수명을 예측하는 자료로도 활용
전기 점검 하시는 분들은 최소한 열화상 측정시, 그냥 하는 것이 아니라, 기준을 알고 하시면 좀더 전문가다운 면모를 어필 할 수 있습니다. 늘 안전에 유의하시고, 다음에는 적외선 열화상 측정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할게요^^
모두모두 사랑합니다!
반응형 - 적외선 열화상 측정의 목적은 무엇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