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IEC 접지계통
    카테고리 없음 2023. 10. 26. 15:10
    300x250

    전기설비 분야에서는 사용하는 전압규격과 사용방식에 따라 접지시스템이 조화를 이루어야 안전이 확보된다. 지락 사고시 지락전류는 어느 한 부분으로 일정하게 흐르는 것이 아니라 접지저항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

     접지저항이 낮으면 안전하고 높으면 위험하다는 일반적인 잘못된 생각이 사고를 크게 확대 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국내의 수용가(고객측) 접지시스템은 일본의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전력 측의 접지시스템은 다중접지방식(TN-C)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수용가 측은 개별접지방식(TT)을 적용하고 있어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TN방식, TT방식, IT방식에 대해 각각의 특징을 설명하고, IEC에서 사용하는 TT, TN, IT가 있는 것에 대해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재 1문자
      • T : Terra의 약자이며 대지라는 의미이다. T는 대지의 한점에서 직접접지(계통접지)하는 방식
      • I : Insulation의 약자이며 절연이라는 의미이다. I는 대지를 통해 완전히 절연하거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대지의 한 점에 접지하는 방식이다.
    2. 2문자
      • T : 도전성 노출부분을 대지에 접지하는 것이다. 일명 기기접지라고 한다.
      • N : Neutral의 약자이며 중성선에 접지하는 것을 말한다.
    3. 제 3문자
      • S(Separated) : 보호도체의기능을 중성선과 접지측 도체와 다른 도체에서 실시하는 방식
      • C(Combined) : 중성선 및 보호도체의 기능을 한개의 도체로 겸용하는 방식(PEN도체 이용)
      • PE : Protecting Earthing
      • PEN : PE와 N의 조합

     

    TN계통

    TN-S 방식

     전원부는 접지되어 있고 일선의 중성선과 보호도체(PE)를 분리해서 접지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경우 보호도체를 접지도체로 사용한다.

    TN-S방식

    TN-C 방식

     간선의 중성선과 보호도체를 겸용하는 PE도체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기기의 노출도전 부분의 접지는 보호도체를 경유하여 전원부의 접지점에 접속하는 방식이다.

    TN-C 방식

     

    TN-C-S 방식

     전원부는 TN-C 방식으로 구성하고, 간선계통의 일부에서 중성선과 보호도체를 분리하여 TN-S 계통으로 하는 방식이다.

    TN-C-S 방식

    TT계통

    보호도체를 전원으로 부터 끌어 오지 않고 기기자체에 접지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TT방식

     

     

    IT시스템

    전원부를 비접지로 하거나 또는 임피던스를 통해서 접지하는 방식이다.

    IT시스템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