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

직장 내 왕따, 이겨내는 현실적인 방법

by 김최고 2025. 7. 11.
300x250

혼자만의 시간

직장에서 겪는 왕따는 상상 이상으로
사람의 자존감과 삶의 리듬을 무너뜨립니다.
학창시절처럼 단순한 무리 배척이 아니라,
업무상 불이익과 인간적 고립이 뒤섞이기 때문에
견디기 더 힘들고,
탈출구를 찾기 어려운 감정의 수렁으로 빠지기 쉽습니다.

하지만 왕따를 당한다고 해서
내가 틀린 사람이라는 건 아닙니다.
조직이 건강하지 않거나,
사람 간의 이해가 부족하거나,
그저 누군가의 권력놀이 희생일 수도 있는 겁니다.

그래서 왕따 상황을 마주한 지금,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나를 합리적으로 재점검하고,
감정적으로는 내 편을 들어주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외롭고 불안한 상태일수록
자책부터 합니다.
‘내가 말을 잘못했나?’
‘나한테 문제가 있었나?’
‘그때 그 말이 기분 나빴나?’
끝도 없는 질문을 반복하며 자신을 깎습니다.

하지만 잠시 멈추고 생각해보세요.
상대가 당신의 존재를 깎아내리는 말을 했다면,
그건 그 사람이 '틀린 방식'으로 표현한 겁니다.
‘내가 틀린 사람’이라는 말은 절대 아닙니다.

그렇다면 현실적으로,
직장 내 왕따를 어떻게 이겨낼 수 있을까요.


1. 너무 가까이 가지 마세요.
의외로 많은 분들이 잘못된 관계를 되돌리려
더 다가가려 합니다.
오히려 역효과를 부릅니다.
왕따는 배척입니다.
배척은 ‘나와 거리를 두겠다’는 신호입니다.
그런 사람에게 자꾸 접근하면,
그들은 더욱 견고하게 벽을 칩니다.

그럴 땐 잠시 물러나세요.
한두 걸음 뒤에서
나만의 공간을 지키는 연습부터 해야 합니다.


2. 일은 ‘냉정하게’ 잘해야 합니다.
관계에서 소외되더라도,
업무 성과에서 무너지면
더 큰 공격을 받게 됩니다.
자기 자리를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일을 빠짐없이, 정확히 해내는 겁니다.
말은 섞지 않더라도,
실력은 무시할 수 없습니다.

혼자 점심을 먹는 날이 많아도,
보고서 하나는 누구보다 잘 쓰는 사람,
그런 사람이 되면 됩니다.


3. 무리한 편들기 시도는 하지 마세요.
누군가를 포섭하려 애쓰다 보면,
상황은 더 꼬입니다.
편이 되어줄 것 같던 사람도
‘괜히 끼지 말자’는 생각으로 멀어질 수 있습니다.
조직은 감정보다 이해관계가 빠르게 움직입니다.

그럴 땐 ‘한 사람만’ 있어도 충분합니다.
모두에게 인정받으려 하지 마세요.
나를 이해해주는 단 한 명,
같이 밥 먹고 퇴근길에 말 건네줄 수 있는 그 사람만 있다면
당신은 고립이 아니라 ‘선택적 거리두기’를 하는 겁니다.


4. 정면 돌파보다, 간접전이 효과적입니다.
정면으로 “왜 나를 그렇게 대해요?”
묻고 싶은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하지만 그 질문은
왕따를 만드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먹잇감이 될 수 있습니다.

차라리 다른 팀 사람과 협업을 하면서
내 성실함과 실력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작은 평판을 넓히는 게 좋습니다.
“그 사람 얘기만 듣지 말고, 직접 겪어보면 괜찮던데?”
이 한마디가 당신의 구원을 만들 수 있습니다.

5. 정신의 면역력을 반드시 챙기세요.
왕따는 정신 건강에 치명적입니다.
혼잣말이 늘고,
감정 기복이 커지고,
매사에 불신이 생긴다면,
그건 몸이 아니라 마음이 병들어간다는 신호입니다.

일주일에 한 번이라도
내 감정을 비워낼 사람을 만드세요.
카페에서 친구와 수다를 떨거나,
가볍게 상담을 받아보거나,
글을 쓰며 정리하는 것도 좋습니다.

감정의 독소는
하루만 쌓여도
생각을 흐리고 마음을 닫아버립니다.
정신의 환기를 위한 루틴을
생활 안에 꼭 넣어야 합니다.


직장 내 왕따는 분명 고통스럽습니다.
하지만 절대 잊지 마세요.
상대가 나를 거부하는 건,
내 본질을 부정하는 게 아니라
그들의 방식이 틀렸다는 뜻일 수도 있습니다.

회사 사람 전부가 당신의 세계는 아닙니다.
그들은 당신 삶의 일부일 뿐이고,
더 넓은 세상은 여전히
당신을 향해 열려 있습니다.

지금은 그저,
당신의 내면을 지키는 시간입니다.
무너지지 않게,
흔들려도 쓰러지지 않게,
작은 중심을 지켜내는 것만으로도
이미 잘하고 계신 겁니다.

반응형